DJI 특허 분석 보고서 (상)
굿데이투인벤트
1. 들어가며
최근 드론(drone)에 대한 각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1~2년 사이 다양한 형태, 구성 및 가격의 취미용 드론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왔고, 드론과 관련된 각종 영상 미디어가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기 시작하였다. 가히 ‘드론 신드롬(syndrome)’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이 현상은 미국의 아마존(Amazon)에서 드론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 - ‘아마존 프라임 에어(Amazon Prime Air)[1]’를 계획 중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더욱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드론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되는바, 이와 관련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사실 드론 혹은 UAV(unmanned airborne vehicle)는 오래 전부터 군 주도하에 연구되어왔다. 드론은 일반적인 유인 비행체에 비하여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시야 또는 레이더 망에 탐지될 가능성이 적다. 설사 적군에 탐지되어 격추되더라도 그로 인한 인명 손실이 발생되지 않으며 가격 역시 통상의 유인 비행체에 비해서 저렴하다. 이런 이유로, 특히 미군 부대에서는 프레데터(Predator)[2], 리퍼(Reaper)[3]등의 드론을 통한 정찰 및 공격 작전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무인-비행체’가 지니고 있는 장점은 군사적 측면에서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일상 생활 속에서 드론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결과가 작금의 드론 신드롬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멀티콥터 형태의 드론 이전에도 RC 자동차, 보트, 헬리콥터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RC 모델은 일반 대중들이 통상적으로 접하기엔 그 허들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우선, RC 모델 자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필요하고, 대부분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RC 모델의 조작이 까다로운 편이다.
기존 RC 모델 대비 최근의 멀티콥터 형태의 드론이 가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다양한 가격대
● 용이한 조작성
● 용이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 획득
현재 1~2만원대의 초소형 드론에서부터 수백 만원에 달하는 전문 촬영 드론이 판매되고 있다. 드론의 조작 편의성, 짐벌(gimbal), 영상 촬영 또는 FPV(first person view) 기능 포함 여부 등에 따라서 그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또한 대부분의 드론 업체들은 ‘Ready-to-fly’를 표방하고 있다. 즉, 드론 구매 후 박스에서 꺼내는 즉시 별다른 준비 없이도 드론을 비행시킬 수 있으며, 함께 포함된 전용 콘트롤러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손쉽게 드론의 비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최근의 대부분의 드론은 영상 촬영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고화질 촬영을 위한 짐벌을 포함하거나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제품도 존재한다. 드론을 통해 촬영한 영상은 기존과는 다른 시각적 효과를 주기 때문에 최근 방송국 등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프로펠러 및 모터를 구비한 드론(특히 멀티콥터)의 기본적인 구조는 널리 알려진 것이다. 하지만, 각 드론 제조사들은 드론의 새로운 디자인 및 구조, 보다 용이하게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들을 특허로써 등록, 보호하고 있다. 이것은 현재 드론 시장의 최강자인 DJI[4]도 마찬가지이다.
2. DJI의 특허 등록/출원 현황
DJI는 멀티콥터형 드론의 원천특허 다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장에서는2015년 10월 27일 기준, 중국, PCT, 미국, 한국 및 유럽에 출원된 DJI의 특허 등록/출원(공개) 현황을 개략적으로 확인하고 하고자 한다. 여기서 공유되는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각 기관의 검색 엔진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모든 통계 자료는 '공개된' 출원건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통계에 집계되지 못한 출원 발명이 존재할 수 있다.
(1) DJI 중국 특허 출원 현황
우선, 모두가 아는 것처럼, DJI는 중국 국적의 회사다. DJI 미국 법인의 영문 명칭은 ‘SZ DJI TECHNOLOGY CO., LTD’인데, 여기서 SZ는 ‘Shenzhen’, 즉 중국의 지명인 심천(深圳)을 의미한다. DJI의 중국어 사명은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인데, 이를 활용하여 중국 특허청[5]에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DJI가 중국에 출원한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의 출원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중국 특허청에서 확인할 수 있는 DJI의 특허 출원건수는 133 건이며, 실용신안 출원건수는 224 건, 디자인 출원건수 89 건이다. 133 건의 특허 출원에 대한 상세 리스트는 지면 관계상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키프리스[6]를 통해 한정적으로 검색되는 DJI의 중국 출원특허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KIPRIS에서 검색되는 DJI 중국 출원특허 목록
133 건의 특허출원 중, DJI가 중국에서 특허권을 획득한(granted) 출원은 2010년 12월 6일에 출원한 ‘一种微型惯性测量系统(영문명 Micro inertial measurement system)’의 1건인 것으로 검색된다. DJI의 연도별 중국 특허 출원건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JI의 연도별 중국 출원특허 건 수
2009년 내지 2012년 사이에는 출원건수가 5건 이하로 적은 편이지만, 2013년 이후 해가 바뀜에 따라 출원건수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경우 다른 국가들과 유사하게 출원 후 1년 6개월이 되는 시점에서 출원한 발명이 공개된다. 즉, 2014년 및 2015년에 출원된 특허들 중 아직 출원공개가 되지 않은 발명이 다수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6년 7월 및 2017년 7월이 되는 시점에서 2014년의 출원건수 및 2015년의 출원건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DJI PCT 특허 출원 현황
DJI는 PCT를 통한 국제출원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WIPO를 통해 국제공개된 DJI의 PCT 출원건수는 모두 38 건으로, 중국 출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제공개일(우선일로부터 18월 경과 후) 미도래로 인해 아직 공개되지 않은 PCT 출원건이 더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DJI의 연도별 PCT 출원건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DJI의 연도별 PCT 출원특허 건 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DJI는 2010년도 초반부터 PCT 출원을 진행해왔으며, 2014년 이후 PCT 출원건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PCT 출원특허 중 국내단계에 진입한 건 목록
DJI의 PCT 출원 중 국내단계에 진입한 출원의 목록을 추려보면 위 표와 같다. 위 표는 PCT 출원일 순서로 나열된 것인데, 앞의 WO2013029286 내지 WO204205885 건은 모두 일본에서 국내 단계가 진행되고 있으며, 뒤의 WO2014075609 내지 WO2015051616 건은 유럽 특허청에서 국내 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아직까지는 일본 특허청에서 공개된 DJI 특허는 없는데, 상기 표를 통해 DJI가 일본에서의 특허출원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O2014075609 건은 중국에 출원된 실용신안에 기초하여 PCT 출원되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한편, 다양한 이유로 PCT 출원 특허의 국내 진입 여부가 WIPO DB 상에서 표시가 안될 수도 있다. WO2013033925 건의 경우, WIPO DB 상에서는 한국에 대한 국내 진입 여부가 기재되어있지 않으나, 키프리스에 따르면 한국에 출원된 1020147009447 건이 WO2013033925 건으로부터 비롯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국내 단계에 진입한 DJI의 PCT 출원이 더 있을 수 있다.
(3) DJI 미국 특허 출원 현황
어떤 사업을 세계적으로 확장하려 할 때 미국 시장을 무시할 수 있는 사업가는 없을 것이다. 이는 DJI도 마찬가지인데, 개별 국가들 중 미국에서 공개/등록된 특허 수가 중국에서 공개/등록된 특허 다음으로 많다. 미국에 등록되거나 공개된 DJI의 발명 현황은 다음과 같다. 공개된 US 출원특허의 목록에서 등록된 건과 중복된 것 배제되었다.
미국 특허청에 등록된 DJI 특허 목록
미국 특허청(USPTO)에서 공개된 DJI 출원특허 목록
아울러, DJI의 연도별 미국 출원건수는 다음과 같다.
DJI의 연도별 US 출원특허 건 수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청에 출원되었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건이 다수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DJI가 미국 특허청에서 특허권을 취득한 발명 중, 드론의 배터리와 관련된 건이 존재한다. 배터리의 디자인과 관련된 D740,222건과 드론의 배터리 상태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조건에 따라 드론의 배터리를 실제적으로 교체하는 스테이션과 관련된 9,139,310건이 그것이다. 드론을 장시간 혹은 장거리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배터리로부터 비롯된 한계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한가지 해결 방안으로, 드론의 배터리를 자동적으로 충전하거나 교체하는 플랫폼이 고려될 수 있는데 해당 발명들은 이러한 상황을 대비한 것으로 해석된다.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과 관련된 9,028,312건도 다른 건과 구별되는 특이한 특허라고 할 수 있다. 해당 발명은 드론 표면에 직격한 BB탄 등의 충격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에 기반하여 계산된 스코어 등을 드론 조종자에게 공유하거나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하는 장치/플랫폼과 관련되어있다. 이 분야에 대하여 DJI가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드론을 엔터테인먼트로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공개된 20150254988건은 드론의 비행 제한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2015년 초, 백악관에 DJI의 드론이 충돌[7]한 이후, DJI는 주요 관공서나 비행장 근처에서 자사의 드론 제품을 비행시킬 수 없도록 제어하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8]하였다. 해당 건은 이와 관련된 드론 비행 금지 메커니즘을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외의 특허들은 드론의 통신, 센서, 구조 등의 분야와 연관되어있다.
(4) DJI 유럽/한국/일본 특허 출원 현황
유럽 특허청에 제출된 DJI의 특허들은 모두 중국 출원특허 또는 PCT 출원특허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또는 PCT 출원의 국내 단계로서의 출원일 수 있다). 총 11 건의 DJI 특허가 유럽 특허청의 DB인 Espacenet[9]에서 검색되었다. 세부 목록은 다음과 같다.
유럽 특허청(EPO)에서 공개된 DJI 특허 목록
한국 특허청에서 공개된 DJI의 특허들은 모두 2 건으로 PCT 출원의 국내 단계 출원에 해당되는 것들이다.
한국 특허청(KIPO)에서 공개된 DJI 특허 목록
일본 특허청에서 검색되는 DJI의 특허는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DJI의 PCT 출원 중 일본에서의 국내 단계에 진입한 건이 4 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JI는 미국, 독일(유럽)뿐 만 아니라 일본에도 지사를 두고 있다. 이 점을 미루어보면 아직 공개되지 않은, 일본에 직접 출원된 DJI 특허가 존재할 수도 있다.
(5) 소결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DJI는 ‘드론’이라는 특정 분야에 대하여 활발한 출원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의 삶에 대한 드론의 영향력이 점차 커져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DJI의 출원 범주가 ‘좁다’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DJI의 드론 관련 출원은 본토인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앞에서 소개하였던 DJI의 출원 현황을 종합하여 그래프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DJI의 연도 별 특허출원 건 수
위 표에서 2015년도의 자료는 공개되지 않은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어 생략하였다. 최근, DJI의 중국, 미국 및 PCT 출원 건수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2015년에도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특허로 자사의 기술 및 제품을 보호하는 DJI의 정책과 DJI의 특허 출원건수를 고려해보았을 때 드론 시장에서 DJI의 영향력이 쉽사리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
- References
① 아마존 프라임 에어(Amazon Prime Air) : http://www.amazon.com/b?node=8037720011
② 군용 드론 프레데터 :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l_Atomics_MQ-1_Predator
④ DJI : http://www.dji.com
⑤ 중국 특허청 : http://www.sipo.gov.cn
⑥ 키프리스 : http://www.kipris.or.kr
⑨ EPO DB Espacenet : http://worldwide.espacenet.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